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목포여행 목포항구축제 유달산,신안천사대교, 동부시장,목포에그타르트, 콩물,쑥굴림,호텔몬다비,삼학도,목포항...

여행이야기

by 단안디 2023. 10. 21. 07:35

본문

반응형

목포여행  목포항구축제
유달산,신안천사대교,동부시장,
목포 에그타르트,콩물,쑥굴림,
호텔몬다비,
삼학도,목포항...

2023년 전국체전 끝난 시점
목포여행
경남 창원시  에서  목포
까지  이동시간  3시간
정도 소요된다

목포는 항구다
구도심 일본풍의  건물이  많고
이곳저곳 볼꺼리 많네

목포여행 목포항구축제
목포는 청년과 함께 하는
글로벌 파시 항구
항구축제  10월20일~22일

삼학도 일원 의  목포항
일원에
많은 행사   찾아보는 쎈스

가을 하는과 바다
목포의  아름다움
유달산을 품은 목포여객선터미널
을 마주한

삼학도크루즈
범상치 않는  크루즈유람선

크루즈선 승선대기실
목포여행 크루즈 타봐요?

삼학도 포차거리
낭만포차
목포항 목포포차 거리

불야성을  이룰 포차들
연희네포차

목포는 연희다
목포항구포차 1등맛집 이라네
연희네포차

여행은  먹빵 ~~~
먹고빵빵하게 놀고

육회 + 꼬막무침+비빔밤  
삼합인가요 ?

포차거리

낭만항구 목포
항구포차
등대표식

목포항구 가을하늘
하늘색  겔럭시폰의 감성
인가요  

신인군 섬투어 갯뻘
임해대교 지나
1004대교 와  바다

목포와  맞다아 있는  
임해대교
갯벌 칠게 같네요
꽃게 모양인가요

임해대교 를  지나 신안군
섬지역으로  입도 하면

천사섬
천사대교 ,천사다리
1004대교

천사대교

천사대교 자태

천사다리  라고하는
신안군 천사대교 입니다

어마어마한  주탑과 함께
목포시 - 신안군 다도해
섬을 이어주는
임해대교,천사대교

1004  조형물
ㅎㅎ
뒷통수 찍었네요

섬뻘낙지거리 특화거리

뻘낙지의 보고
육지와 가까운  무안뻘낙지
있지만

바다뻘  신안군 염전과 함께
섬뻘낚지 친환경 아닐까요 ?

섬뻘낙지  ㅎㅎ
뫀포시장 동부시장에서
찾았네요

무안수산  010-9610-5594
목포동부시장 산낙지

동부시장 낙지  솔이네수산
010-8786-1267

안좌도 보라색대교
ㅎㅎ

신안군 섬투어
호텔몬다비  아침일찍
출발  왕복 2시간
잠순이는 Zzzzzz

왕복 1시간30분  
배불배불  소화시킵니다.
목포 맛집투어 후유증.

유달산 둘레길
해발 228m

유달산 스카이워크  추가
건설중이네

신안비치호텔옆  도로변 공영주차장
무료 주차하고

낙조대가는길
서해안 낙조
배불배불 소화도 시킬겸

이야기있는
유달산둘레길
해넘이아름다운 낙조대

이곳에서 바라보는
다도해 해넘이는
붉게 물든 바다,
점점이 떠있는 섬,
오가는 배들이 함께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한다.

목포대교의 야경도 환상적이다.
바로 앞 바다 건너 고하도는
정유재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107일 동안
머물면서 전력을 재정비해 노량해전의
밑거름이 되었던 곳이다.
고하도 용오름길(왕복 6㎞)
아기자기한 바위능선을 따라 목포항을
바라보며 걷는 맛이 일품이다.

고하도를  내려다보고

유달산 둘레길

이야기
유달산둘레길
채석흔적

유달산 곳곳에는 이런 채석
흔적이 많다.
주로 집을 짓거나 담을 쌓는데
사용하였다.

옛 사람들의 채석 방법

-일정한 간격을 두고 판 구멍에
겨울철에 물을
붓고 얼려 얼음이 내는 팽창압을
이용하거나,
다른 나무를 박아 넣고 물을
부어 나무의
팽창력을 이용하기도 했다.

고인돌이나
이집트 피라미드 돌도 이런
방법으로 채석했다.

이야기
유달산둘레길
힘들면 노래를 부르세요
아리랑고개

아리랑고개라고 부르게 된
연유는 확실치 않으나,
가파른 고개를 넘으며
힘겨움을 달래기
위해 '아리랑'을 부르며
넘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전국에 있는 '아리랑고개'의
유래가 이와 거의 비슷한 점,
'아리랑'의 본고장인 진도사람들이
온금동에 집단 이주해와
살았던 점 등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아리랑고개,학암자,
제2수원지,목포사,
낙조대

유달산
수태(胎)바위
受胎 (수) : 아이를 배다/임신하다

유달산 장수와의 사랑을
이루지 못하여 학이 된 세 처녀가
삼학도로 다시 태어나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장수의 부모가 이곳 수태바위에서
기도를 드린 후 장수와
두 형제(세 쌍둥이)를
임신하였다는 전설이 있는
곳입니다.

유달산 케이블카
승강장 지나 마당바위

케이블카 와 함께  
마당바위  일등바위
이등바위 올라봐요

유달산 사랑이루어지는 자리
진짜?

목포시내

유달산 에서 내려다본 목포

우리집 애기
유달산 애기바위 에서

유단산 케이블카 구조물과
낙조
서해안 낙조 시작이네요

마당바위 도착시점
서해낙조 시작


부동명왕상
부동명왕은 대일여래가 모든
악마와 번뇌를 항복시키기
위하여 분노한 모습으로
나타난 형상으로 오대명왕의
하나이다.

1920년대 말 일본인들이
일본불교의 부흥을
꾀하기 위하여 일등봉 아래쪽
암벽에 조각했다고 전해진다.

청퇴를 들고 있는 모습 위에
'不動明王' 이라 각 해져 있는데
홍법대사가 중국에서
유학하고 일본으로 돌아올 때
배를 타고 모시고 왔는데
이 부동명왕이 대사의
항해 안전을 지켜줬다고
하여 홍법대사가 안치된 곳에는
어김없이 부동명왕상이
함께 있다.


홍법대사상 弘大師像

부동명왕상에서 우측쪽으로
50m정도 떨어진 곳에 일본
진언종의 개조로 이름은 공해,
속성은 좌백직이며,
홍법은 시호이다.

774년에 태어나 835년에
열반하였는데 20세에
출가하여 중이 되었으며
804년 30세 되던 해에 중국
당나라에 건너가 수행하였다.

806년에 귀국하여 불법을 전해
일본불교의 선각자로
칭송받고 있다.

일본에서는 일반 서민들에게
특히 친숙하고 존경받는 승려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은
그들의 종교적 침략의 수단으로
유달산 바위 곳곳에 그들이
숭배하던 불상을 새겨 놓았고,
그 흔적의 대표적인 예가
부동명왕상과 홍법대사상이다.

목포시 유달산

아름다운 산을 지키지 못한
아픔을 ...

서해안 낙조를  마주한
창원 ...

유달산 둘레길 케이블카 승강장

목포여행
낙조와 함께  마무리 하고
호텔몬다비 이동 해봅니다

단디의 목포,신안군
여행이였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